본문 바로가기
투자공부/주식

앗뜨거! 식지 않는 미국의 경기

by dambi_ 2022. 12. 6.
반응형

최근 발표된 두 경제지표 - 고용지표, PMI 지수- 로 인해 미국 경기가 아직도 과열되어 있다는 해석이 나옵니다.

 

▶ 11월 비농업 부문 고용 : 26만 3천명 증가 (예상치 20만명)

▶ 11월 비제조업 PMI : 56.5 (10월 : 54.4)

 


 

비농업 부문 고용(Non-farm Payrolls)

미국 노동부는 지난 2일에 11월  '비농업 부문 고용(Non-farm Payrolls)'이 26만 3천명이 증가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는 시장의 전망인 20만명을 대폭 상회하는 결과였습니다. 즉, 아직 경기는 과열 양상이라는 걸 뜻합니다.

이런 인플레를 억누르기 위해 연준에서는 최종금리를 더 높일 수도 있다는 예측이 나오고 있습니다.

 

파월이 지난주 금리 인상 규모를 하향 조정하겠다고 말했는데 고용지표가 이렇게 나오니 

노동시장이 식어간다는 명확한 신호를 볼 때까지 더 강한 금리인상 기조가 이어갈 수 있는 것이죠. 

 

게다가, 임금 상승도 멈출 기미가 없습니다.

 

'For the three months through November, average hourly earnings rose at a 5.8% annualized rate, the Labor Department said Friday. That is up from an initially reported 3.9% annualized rate for the three months ended October.'

11월까지 3개월 간 시간당 평균 임금이 전년 동기 대비 5.8% 증가하였는데

이는 10월에 전망치인 3.9%보다 높은 수준이었습니다.

 

무슨 뜻이냐? 임금상승이 아직 멈추지 않았다는 뜻입니다.

임금상승은 인플레이션의 주요한 원인입니다.

 

구매관리자지수(PMI : Purchasing Manager Index)

매월 미국공급관리협회(ISM)는 협회에 소속된 구매관리자들을 대상으로

신규주문, 생산, 재고수준, 원자재가격 등으로 구성된 설문조사를 시행합니다.

설문조사는 너무 방대하고 알아보기 힘드니 ISM에서는 PMI지수라는 걸 만들었습니다.

 

구매관리자지수(PMI:Purchasing Manager Index)란?

-간단한 수치로 미국의 구매관리자들의 경기전망을 알아볼 수 있습니다.

-0~100으로 나오며 50이 넘으면 경기가 좋아질 것이라고 예측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51이면 경기전망을 긍정적으로 본 구매관리자가 51명, 그렇지 않은 구매관리자는 49명이라는 뜻입니다.

 

미국의 11월 ISM 비제조업 PMI 지수는 56.5로 전월의 54.4도 넘고 시장의 전망치도 웃돌았습니다.

위의 고용지표와 같이 아직 미국 경기는 진정되지 않았다 라는 걸 방증합니다.

 

Our economy is so strong as hell

진짜 바황상 말대로 미국 경기는 너무 강합니다.

 

문제는, 미국처럼 고용과 소비가 튼튼하지 않은 우리나라는 이런 금리인상의 후폭풍에 당할 수밖에 없다는 점입니다.

특히, 가계와 기업의 부채가 현재도 감당할 수 없을 정도인데 지금보다 더 강한 기준금리 인상은 정말 위험할 수 있습니다.

 

전세계가 파월 리딩방인듯

시장에서는 2023년 봄까지 연준의 기준금리가 5%까지 오를 것으로 예상합니다.

최종금리(Terminal Rate)는 5%를 넘을 것이라고 보는 의견이 대부분입니다.

그러면 우리나라도 완전히 같은 수준은 아니겠지만 어느 정도 비슷하게 갈 거라고 봅니다.

 


 

내년도면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8%이상으로 올라갈듯하네요. 

부동산은 침체, 전세가는 상승, 영끌족은 힘들겠습니다.

벌써 법원에는 부동산 경매 물건이 쌓이고 있습니다...

 

그리고 사업자 대출을 못갚아 도산하는 기업들도 속출할 겁니다.

사업자 대출은 주택담보대출보다 한도가 더 높습니다.

레버리지가 높은 만큼 금리상승은 더 위험하겠죠.

 

정말 미국 물가 잡으려다 전세계가 시름시름 앓네요

파월 이놈! 작년엔 뭐하다가!!!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