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투자공부/주식

나스닥 선물(마이크로 e-mini) 간단한 이해

by dambi_ 2025. 5. 14.
반응형

내가 이해하기 위해서 작성함

 

 

 

나스닥 선물 거래란?

나스닥 지수를 기초자산으로 거래되는 선물(Futures) 거래로 파생상품(Derivatives)의 일종이다.

선물은 미래에 특정 가격으로 거래하겠다는 계약으로 실물거래와 달리 기초자산의 가격변동에 따라 손익이 발생한다. 

 

 

 

선물 상품설명 (마이크로 e-mini 나스닥 100)

- 상품명 : Micro E-mini Nasdaq-100 Index Futures

- 거래소 : 시카고 선물거래소(CME)

-  만기월 : 매년 3/6/9/12월 셋째주 금요일 (2025년 : 3월 14일 / 6월 20일 / 9월 19일 / 12월 20일)

-  계약단위 : 나스닥100 지수(MNQ) * 2$     >>> 뜻 : 1계약 매수 후 1포인트 상승시 2달러 이익 발생

-  틱(최소 가격 변동폭) : 0.25포인트            >>> 뜻 : 호가창에서 최소 변동단위는 0.25포인트

 

*** 2025.5.14. 기준, NH나무증권, 환율 1$=1400 가정

-  개시증거금 : 3,483$ (약 493만원)           >>> 뜻 : 1계약을 매수하기 위해 필요한 돈

-  유지증거금 : 3,166$ (약 448만원)           >>> 뜻 : 평가액 손실시 계약이 유지되기 위해 필요한 금액

 

쉽게 풀어쓰자면 

주식의 최소 거래단위가 1주인 것처럼 선물은 1계약 단위로 구매가 가능하다. 

1계약을 사기 위해 필요한 돈(=개시증거금)은 3,483$ (약 493만원)이다. 

1계약을 사고 지수가 하락해 평가액이 유지증거금 미만으로 내려가면 청산(=증권사에서 해당 계약을 시장가로 처분해버림)

 

사례 1) 지수(MNQ)가 20,000포인트일 때 매수를 1계약을 매수한 후 지수가 21,000포인트가 되었을 때 이익???

>>> 1계약당 1포인트 상승시 2$ 수익이므로, 1계약 매수 후 1000퍼센트포인트 상승시 1000 * 2$ =2,000$ 이익

 

사례 2) 지수(MNQ)가 20,000포인트일 때 매수를 1계약을 매수한 후 지수가 19,000포인트가 되었을 때 ???

>>> 1계약당 1포인트 하락시 2$ 손해이므로, 1계약 매수 후 1,000퍼센트포인트 하락시 1000 * 2$ = 2,000$ 손해

*** 위 손해(2000$)가 발생하면 평가액(1483$)이 유지증거금(3166$) 이하로 내려가므로 추가증거금(1683$) 입금이 필요

 

현물 투자 & 선물 투자 비교

※세금, 거래비용 제외

투자방식 투자대상 투자금 기초지수 기초지수 1% 상승 수익(산식) 레버리지도
현물투자 QQQ $ 5,000 NDX 20,000 > 20,200
(200p 상승)
$ 50
($ 5000 * (1+0.01))
1:1
선물투자 Micro E-mini Nasdaq 1000 $ 5,000 MNQ 20,000 > 20,200
(200p 상승)
$ 400
(200 * $ 2)
1:8

 

 

풋 거래가 가능한가? 

옵션 거래와 달리 선물 거래로 풋 거래는 불가능하다. 

풋 거래는 기본적으로 기초자산의 미래 가격이 하락할 때 특정 가격에 매도할 수 있는 '권리'상품이므로 직접 계약을 사고파는 선물 거래와 다르다. 

 

가능하다. 선물 거래의 가장 큰 특징이 양방향 수익 추구가 가능하다는 점이다.

현재 지수가 20,000인 상태에서 매도 1계약 체결, 지수 19,000에서 매수 1계약 체결하면

지수가 20,000에서 19,000으로 1,000포인트 하락시 차익을 볼 수 있다. 

 

만기일 수렴현상에 대해

선물 가격은 만기일이 가까워져올수록 기초자산 가격과 비슷해지며 만기일엔 이론적으로 두 자산은 동일한 가격에 도달하게 된다.

위에서 말한 나스닥 선물의 만기일에도 동일한 현상이 일어나며 기초자산 지수(NDX)와 선물 지수(MNQ)가 동일한 값을 갖게 된다.

만기일이 가까워져 올수록 시장 변동성이 커지는 경향이 있으므로 이때는 매매를 피하는 게 좋다.

 

 

 

반응형

댓글